Français/Articles

[시사 독해] 20 ans depuis la signature du Mémorandum de Budapest

요리하는토깽이 2022. 3. 9. 05:00

https://uacrisis.org/fr/15203-20-ans-depuis-la-signature-du-memorandum-de-budapest

 

오늘은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날 입니다. 차기 대통령을 뽑는 날인데요, 차기 대통령의 성향에 따라서 이 나라의 미래가 결정되는 만큼 꼭 잘 선택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독해는 차기 대통령은 이런 사람이었으면 좋겠다와 관련된걸 가져왔는데요,

"부다페스트 각서"에 관한 내용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고 나서 우크라이나 지역에 소련의 핵무기들이 많이 남아있었습니다. 소련시절에 우크라이나에서 그런 무기들을 생산했었기 때문이죠. 미국이나 러시아같은 나라들은 우크라이나에 있는 핵무기들을 폐기하면 안전을 보장해준다는 각서를 쓰게 했습니다. 물론 막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핵무기를 유지하기에는 능력이 되지 않은 상태기도 했고요. 하지만 조약 당사국 중 하나인 러시아는 2014년 크름반도를 뺏으면서 이 각서의 약속을 어기기 시작했습니다. 본문도 2014년 크름사태때 작성된 문서이고요. 지금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자기 발 밑에 두려고 침략한 상태기도 합니다. 결국은 부다페스트에서 서약한 각서가 종이에 약속된 평화가 힘있는자들의 의지에 의해 그리고 이익에 의해 깨질 수도 있다는 것이죠.

그래서 차기 대통령에게 바라는 것은 종이에 약속된 평화를 너무 믿지 않기를 바랍니다. 북한과의 관계도 평화평화 부르짖다가 한국이 열심히 세운 건물도 자기 마음대로 폭파시키고 뒷통수 치고 했었죠. 평화는 서명된 종이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국력에서 나오는거죠. 그렇기 때문에 북한도 핵을 포기하지 않고요.

 

한국어 해석을 보시려면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더보기

부다페스트 각서의 서명 이래로 20년

부다페스트 각서의 서명 이래로 20년

사건들의 연대기

쓰레기통에 버려진 보증의 20년

소비에트 연방과 미국은 전략무기 감축 조약에 서명하였습니다. - 1991년 8월 31일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그리고 벨라루시는 러시아와 미국 같이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그리고 벨라루시는 START-1조약의 참여자가 된 것에 근거하여 리스본 의정서에 서명하였습니다. - 1992년 3월 23일

우크라이나의 Verkhovna Rada는 리스본 의정서 패키지에 있는 START-1을 공인하였습니다. - 1994년 2월 3일

우크라이나의 Verkhovna Rada는 핵무기 확산 금지 조약에 서명하였습니다. - 1994년 11월 16일

부다페스트에서 OECD 정상회담이 있을 때, 각서는 핵무기 확산 금지에 대한 조약을 한 우크라이나의 가맹의 틀 안에서 안전 보장에 대해 제정되었습니다.

안전 보장

영국, 미국, 러시아 / 프랑스와 중국 또한 지지함

1994년까지의 우크라이나의 무기

176개의 미사일

1272개의 핵 탄두

2500개의 전술 핵 무장 단위

전략 핵무기의 생산능력 - SS-18 "사탄" 미사일

문서의 조치

우크라이나의 독립, 주권 그리고 존재하는 국경을 존중하라 - X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전 혹은 정치적 독립에 맞선 위협 혹은 군사력을 도입 하지마라 - X

모든 경제적 압박을 하지마라 - X

만약 우크라이나가 공격적인 행동의 피해자가 혹은 핵무기 도입을 가지고 공격적인 위협의 목표가 된다면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해 UN의 안보 위원회에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라 - O

만약 이 약속에 대해서 문제가 주어진다면 다른 이해관계자와 의논하라 - O

우크라이나에 맞서서 핵무기를 사용하지 마라 - ?

현재 상태

러시아는

영토의 일부를 차지하였습니다.

무역 전쟁을 이끕니다

방해공작꾼과 테러리스트를 보냅니다

그리고 어떤것도 위반하지 않았다고 확언합니다.

 

정리된 단어를 보시려면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더보기

URSS :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Union des Républiques Socialistes Soviétiques)

en vertu de : ~에 근거하여, ~에 의하여

ratifier : 비준하다, 공인하다

prolifération : nf 번식, 증식, 확산, 급속한 증가, 증대

adhésion : nf 점착, 접착, 찬동, 지지, 신봉, 가입, 가맹

ogive : nf 탄두

souveraineté : nf 주권, 통치권, 지배력

s'abstenir : ~을 삼가다, 끊다, 안하다

intégrité : nf 온전한 상태, 보존

partie prenante : 이해 관계자